소스 - 각종 환경을 변화시킬수 있음.
시스템에 따라서 최적의 환경을 만들어 줄 수가 있음.
각종 경로로 수정이 가능..(디스크의 I/O를 줄인다던지.. 등등에 좋음)
자신의 컴파일 옵션에 대해 잘 알아야 함.
binary - 각 OS에 맞춰 컴파일해서 나오는 바이너리가 성능은 좋음. 압축풀고, 세팅만 바꿔서 사용
텍스트 파일과 반대되는 말.(ex: 메모장-text 파일,워드 바이너리 파일)
rpm - 경로나 셋팅등이 고정되어 있음
윈도우의 설치프로그램과 비슷?
레드햇 계열의 리눅스에서 패키지를 설치하고 삭제하는 등의 작업을 하는 프로그램
최선의 방법으로 컴파일 한것을 rpm파일로 만들어 배포
tar.gz - 소스버전. 유닉스나 리눅스에서 압축할때 생시는 파일 확장자
tar는 명령어로 묶고.. gzip으로 압축하면 확장자가 .tar.gzip 이 됨.
.gz은 gzip(GUN zip)으로 압축됨